jun-wiki

View My GitHub Profile

Posts (Latest 10 updated) :
Read all
Contents:
  1. list
  2. tuple
  3. 인덱스
  4. 슬라이스

list

원소를 변경할 수 없는 뮤터블 자료형 객체다.
리스트는 대괄호([])로 감싸고, 각 원소는 쉼표(,)로 구분한다.

list = [원소1, 원소2, 원소3] # 예시
list = [] # 빈 리스트
list = [1, 2, 3, 'hello', True,] # 다양한 자료형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지원한다.
리스트는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하여 원소를 추가, 삭제, 정렬 등을 할 수 있다.
리스트는 가변적이어서 원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리스트는 중첩이 가능하여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길이를 구할 수 있는 len()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는 반복문을 사용하여 각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

tuple

튜플은 원소를 변경할 수 없는 이뮤터블 자료형 객체다.
튜플은 소괄호(())로 감싸고, 각 원소는 쉼표(,)로 구분한다.

tuple = (원소1, 원소2, 원소3) # 예시
tuple = () # 빈 튜플
tuple = 1, 2, 3, 'hello', True # 소괄호를 생랻도  가능하다

tuple = 1,
tuple = (1,)
# 원소가 하나인 튜플은 쉼표(,)를 붙여야 한다.

인덱스

인덱스는 리스트나 튜플의 각 원소에 접근하기 위한 번호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 음수 인덱스를 사용하면 뒤에서부터 접근할 수 있다.

list = [1, 2, 3, 4, 5]
print(list[0])  # 출력: 1
print(list[-1]) # 출력: 5 (뒤에서 첫 번째 원소)
print(list[7]) # 오류 발생: 인덱스 범위를 벗어남
list[8] = 10 # 오류 발생" list[8]에는 값을 할당할 수 없다.

슬라이스

슬라이스는 리스트나 튜플의 일부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슬라이스는 start:stop:step 형식으로 사용하며,
start는 시작 인덱스, stop은 끝 인덱스(포함하지 않음), step은 간격을 의미한다.

list = [1, 2, 3, 4, 5]
print(list[1:4])  # 출력: [2, 3, 4]
print(list[:3])   # 출력: [1, 2, 3] (시작 인덱스 생략)
print(list[::2])  # 출력: [1, 3, 5] (간격 2로 추출)
print(list[::-1]) # 출력: [5, 4, 3, 2, 1] (역순으로 추출)

슬라이스는 생략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 start를 생략하면 0부터 시작한다.
  • stop을 생략하면 끝까지 추출한다.
  • step을 생략하면 1씩 증가한다.
  • startstop을 생략하면 전체 리스트를 추출한다.
  • step을 음수로 설정하면 역순으로 추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