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관리기법이다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 공간을 고정 크기 블록(페이지) 으로 쪼개고, 이를 물리 메모리의 프레임에 필요한 것만 매핑해 쓰는 메모리 관리 기법
사실상 csapp에 나온다
페이징이니까 가장 중요한건 페이지다
페이지 : 가상 메모리의 고정 크기 블록
프레임 : 물리 메모리의 같은 크기 블록
페이지 테이블 : 각 페이지가 어느 프레임에 매핑 되었는지, 권한은 뭔지 기록된 거
TLB : 최근 변화 결과 캐시
프로그램이 가상주소(VA)로 읽기 시도
가상 주소 분해 : [페이지 번호 | 오프셋]
TLB 조회 (죠낸 빠른 길 될지 아닐지)
히트 : 프레임 번호 (PFN) 획득
-> 물리주소 = [PFN|오프셋]
-> 메모리 접근 완료
미스 : 페이지 테이블로 가서 PTE 조회
-> 유효하고 권한 OK
-> TLB 채움
-> 물리 주소 만들고 접근
PTE가 없음/무효 -> 페이지 폴트(오류) 발생 -> 커널 진입
커널 처리
페이지 테이블 갱신 & TLB 업데이트
원래 명령 재시도 → 물리 메모리 접근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