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커리어 특강이다
아바티 이준홍이라는데 검색하니 정글 블로그 몇개 나온다
자주 오시나 보다
회사 이름이 어떻게 아바티ㅋㅋ
나비족은 ㅇㅈ이지
아바타 4 재밌게 봤는데
아무튼
여러번 특강 오시면서 보충 하실 생각으로 오셨는데
다 처음보는 사람들이라 당혹스럽단다
정글 잘못인듯 ㅇㅇ
2006년 게임 회사 입사했다는데…
난 그때 세상 입사했다
ㅅㅂ 경력이 내 나이만큼이네;;
창업하고 말아먹고
창업하고 서비스 성공하면 파는 식으로 하다가
지금은 서비스 유지중이라고 하신다
개발자 경력 20년은 취소다
애니메이션도 하고 이것저것 손대셨다 한다
슬슬 취업 얘기하는 거 보니 본론 나오려나 보다
Q. 취업하는 방법?
A. 네놈들의 실수를 알려주겠다 (신입 한정)
알아둬야 할 것
회사에서 천천히 3년 한것과
스타트업에서 개같이 구른 베테랑 3년
커리어에 전혀 다르다 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도메인의 회사를 찾으라 한다
대기업충 OUT!
개발자로 성장하려면 스스로 재밌어 하라는 거 찾아라
도메인이 뭔가 했더니
회사에서 하는 일이라 한다
진작 그렇게 말하지;;
ㅅㅂ 도메인은 www. 이건데;;
목표를 정확히 해야 한다고 한다
대기업을 가든 뭘 하든
원하는 결과를 그리고 행동하는게 중요
현재의 나가 하는 행동이 미래에 영향을 미친다
(당연한 말)
현재의 행동이 미래의 나에게 주는 선물
(발상의 전환)
시장에서의 성공은 운이라 한다
운칠기삼은 ㅇㅈ이지
그리고 운을 잡는법 중 하나는
성공할 것 같은 사람 따라가기, 유튜브를 비롯한 이것저것 해보기…
으음… 교과적인 내용이다…
특강 클리셰인데는 이유가 있는법
확실히 그렇게 해야하기는 하나 보다
강사피셜.
크래프톤은 의미 없다
(다소 오역)
저번 커리어 특강과 비슷한 맥락의 조언이다
포트폴리오나 어디 부트캠프 나왔다는 건 의미 없다 한다
타인들과 차별점을 갖는 게 중요하고 무언가 하겠다는 동기가 중요하다
사람은 의외로 행동하지 않는다 한다
운동 해야겠다 (안함)
다이어트 해야겠다 (안함)
공부 해야지 (안함)
그리고 그러면서 자기계발 유튜브 보는 거 비판했다
뭐, 돈 잔뜩 있고 여러번 시도하며 해외 여행 다니다가 부모 가업 이어받은 뒤에
꺼드럭거리며 강의 다니고 유튜브 찍은 거 보는게 도움이 되긴 힘들다 생각한다 ㅇㅇ
진짜 취업하고 싶으면
지금부터 동료들과 면접 연습하고 이력서 쓰라고 한다
으음…
지금 이력서 쓰면 고졸 백순데…
Q. 크래프톤 과정 이수하느라 뒤지겠는데 어떻게 그거까지 함???
A. [Web발신] 너는 나를 존중해야 한다 난 초3때부터 개발을 했으며 군대에서도 개발을 이어나갔으며.. (중략)
바빠도 할 수 있다고 한다
자긴 2~3시간 자도 헀다고 한다
이건 살짝 걸러들어도 될듯 하다
개인 역량 차이라는 말은 괜히 있는게 아니다
무리하다 병 걸리는 것보다 컨디션 관리하자
산책은 나쁘지 않다 한다
그건 동의한다
(대충 시간은 정해져 있으니 알차게 쓰라는 내용)
(대충 동기 중요하고 안할놈은 안한다는 내용)
잠은 죽어서 잘 수 있다 한다…
이런건 개인적으로 가치관의 차이라 생각한다
대부분의 철학에서 귀결되는 내용중 하나는
삶은 무의미하고 죽음이 더 온전한 상태라는 거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목적을 향해 달려가며 개인의 건강을 희생할지 말지는 선택이라 본다
아무튼 개인 호불호 갈릴 영역이니 이건 걸러 듣자 ㅇㅇ
개발자로써 성공하는 법 중 하나는
유명세다.
쇼츠 만들거나 전문 원서 번역 등으로 얻는 유명세 말이다
AI가 있으니 신입 개발자는 사실상 뽑기 어렵다 한다
단순히 코드 짜는 건 AI가 상위호환이다
그리고 자바 스크립트 마스터하는 건 없다 하며
예시로 한국어 마스터 없다 했는데…
국어국문학과 가면 굶는다는 건 사실인듯 하다
ㅄ학과
아무튼 이런 단순 코더같은게 아닌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설계가 중요하다고 한다
뭐… 당연히 그렇겠지?
그럼에도 최근 들어서 그러한 것이 더 중요하게 되었다 한다
그리고 현업 개발자 피셜로
AI는 퍼킹 트렌드다
행동에 대한 검증을 받아라
무언가에 대해 단순히 완성했다 끝내지 말고
이곳저곳 검증 받아야 한다
타인과의 관계도 중요하다 한다
누구랑 더 친하게 지내고 더 사귀고 이런 거 말이다
중원에서 중히 여기는 ‘꽌시’ 말이다
뭐, 정확히 그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
난 그렇게 받아들였다
질문을 자주 하라
뭘 개발하거나 만들때에 그걸 왜 만들고 왜 필요한지 알아야
니즈에 맞는 걸 제작 가능하다고 한다
흠…
코치진에게 DM 이빠이 보내야겠다
그리고 괴롭히라고도 한다
막 붙잡아서 같이 밤을 보내고 그런 거…♡
ㅏㅇ무튼
유명인에게 DM이나 메일 자주 보낸다고 한다
좋은 거 같다
뭐, 아무리 나빠도 차단밖에 더 먹기야 하겠냐
옛날에 교수님에게 들은
무슨 문장 되새기며 초심을 되찾는다고 하는데
내가 못들은건지 안알려준건지 무슨 문장인지는 안알려주었다…
흠…
승리를 위한 주문? 그런건가 보다 ㅇㅇ
개발자는 코딩으로 말한다
코딩 더러운 건 성향이 더럽다
그럼 코딩 더러우면 못하나?
그건 아니다 개발자는 설계하지 코딩 안한다…?
흠…
AI!
정답은 AI다
AI 테마주를 노려보자 ㅇㅇ
?
ㅅㅂ 족발집에서 족발 밀키트로 요리한다고 한다
지인 이야기라는데 뭔 ㅅㅂ
최근 들은 이야기중 가장 충격이다…
그리고
생활환경 더러우면 코드도 더럽다고 한다
거의 반쯤 인신공격인데…
앞으로 자주 써먹어야 겠다
넥슨 다니며 90% 저축하고
재테크 준비 했다고 하면서 책을 읽었다 한다
성공 결과를 두고 따라하면 성공하는 듯 보이게 쓴 책 조심하라고 한다
아까 자기계발 유튜브 비판과 일맥상통해 맞는 말이다
그리고 26살 사고 당하고 생각 바뀌었다 한다
하고 싶은 거 하고 살기로 말이다
그건 나랑 좀 맞는 듯 하다
결국 시간이 지나고 죽으면 모든 건 무의미하기에 기왕이면 살아있을 때 즐기는 거 말이다
허무주의적 사고에 대한 돌파로 유명한 방안이기도 하다
만류귀종이라…
결과보단 과정을 즐기라 한다
게임 엔딩 보는 과정이 재밌고 여자 사귀는 과정이 재밌지 끝나는 결과를 보려는게 아니라고 한다
역시 어딘가 깨달음 얻으려면 기연이나 사고를 당해야 하나 보다
tmi) 1일 1식 하며 책읽는다고 한다
데카르트 이야기도 꺼내는 거 보니까
ㅅㅂ ㄹㅇ 철학 읽었나보네ㅋㅋㅋㅋ
어쩐지 말하는 거에서 좀 비스무리한 티가 나긴 했다 ㅇㅇ
건강마저 해치며 하고 싶은 거 한다는 점에서 약간의 모순이 있었지만
그래도 일관성있게 주장하는 강사님 같아서
좋은 특강이라 생각한다
Q. 개발자의 좋은 습관?
A. 코딩하다 죽어라
___
멍말인지 딱알았다 (모름)
축구선수 취미 : 축구
수학자 취미 : 수학
개발자 취미 : 개발
이런 느낌인가 보다
그리고 경영자의 취미는 사기라고 한다
자본주의 이 미친새끼 (공산주의 옹호 아님)
Q. 큰 목표 어떻게 세우냐?
A. 모방해라
성공한 타인을 따라 행동하라 한다
나쁘지 않은 것 같다
이미 성공한 길이 있는데 굳이 안따라갈 이유는 없으니 말이다
…
?
2시간 잔다더니 사실 더 잤다고 갑자기 고백하신다
그리고 건강관리 하며 컨디션 관리한다 하신다
쪽잠 자주 자고 책보며 쉬기도 한다고 한다
으음… 역시 비판적사고가 중요하다
상식적으로 2시간만 자며 생활하면 뒤질테니까 전혀 안믿기 잘했다
강연 보고 영감받았다고 2~3시간 보다 더 안잘려고 애쓰거나 하는 미련한 짓은 하지 않길 바란다
결국 처음 예상대로 컨디션 챙기며 할 거 한다는 내용이었으니 말이다
하기야
그럴 줄 알았다
현재를 즐기자고 했으면서 즐기고 나아지기 위해 공부를 열심히 하라 했으면서 건강 챙기지 말라는 건 어불성설이니 당연한 결과다
아무래도 건강 챙기면서 열심히 공부하세요~ 하면
네~ 하고 처놀거라는 건 아는 모양이다
마지막에 꼰대 같은 얘기 들어줘서 고맙고
말 강하게 했다고 하는데…
강하게 하는 건 좋았지만 그로인한 약간의 왜곡이 들어갈 때가 아쉬웠다
그래도 역시 크래프톤이라 그런지 강사들의 말이 상당히 현실적이라 마음에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