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wiki

View My GitHub Profile

Posts (Latest 10 updated) :
Read all
Contents:
  1. 개념
  2. 사용 방법
    1. 소환
    2. 생성
    3. 제작
  3. 베이직 템플릿



이런, 너무 늦어서 교내만 남아버렸다.


아쉬운대로
도내 초교고급 교실(class라는 뜻) 다루는 법을 알아보자


개념

대신 교실(class라는 뜻)은 있다.

클래스란,
객체를 표현하기 위한
문법

이라고 한다.

설계도 같은 거라고 하는데
아직 잘은 이해가 안간다

갑자기 설계도 타령하니 당연하다

그렇기에 예시를 보 도 록 하 자

class Dog:
    def bark(self):
        print("멍멍!")

설계도를 만들었다


mydog = Dog()
mydog.bark()   # 출력: 멍멍!

이런식으로 사용 가능하다!!!

괜히 설계도라 한게 아니었다…

설계도를 통해 함수를 만드는 틀로써 사용가능한 역할이었다.

ㄹㅇ로다가 지식이 느렀따

사용 방법

알기만 하면 뭐합니까?

실제로 써봐야지

소환

마법식의 시작을 담당한다.

class 주문명:
    # 식 작성
    pass
  • 이렇게 class로 시작한다.

    생성

  • 객체를 만들 떄 자동 발동되는 주문
  • 주로 초기 상태 설정 시 사용
    class dog: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 self: 객체 자신을 가리킴
    
  • __init__는 자동으로 발동된
class Dog: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mydog = Dog("⌜케르베로스⌟")
print(mydog.name)  # 출력: ⌜케르베로스⌟

제작

클래스 내부에서 식을 정의하면 메서드라고 부른다

class Dog: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def bark(self):          # 메서드 첫 번째 인자는 꼭 self!
        print(self.name + "가 멍멍!🐶📢🔥🔥☠️")


예시

mydog = Dog("초코")
mydog.bark()  # 출력: 초코가 멍멍!🐶📢🔥🔥☠️



이렇게 작성한 식을 매서드라고 한다.
특별히 매서드 템플릿을 뿌리겠다.

마탑에는 비밀이다.

베이직 템플릿

class 주문명:
    def __init__(self, 인자1, 인자2, ...):
        self.속성1 = 인자1
        self.속성2 = 인자2

    def 메서드이름(self, 추가인자...):
        # 영창할 주문
        pass